SF3355는 農의 가치를 높이는 사람들의 소규모 학습 커뮤니티입니다. 
2023년, 
현장실천가와 시민연구자가 ‘사회적 농업’을 주제로  1년 동안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

우리가 함께 

공부하는 이유

  • 사회적 농장은 현장 실천가로서 사회적 농업 활동 경험을 공유하고, 시민연구자는 사회적 농장의 스토리와 강점을 발굴하며 사회적 농업 활동을 돕습니다.
  • 경제적 자본(자립 경영)과 사회적 자본(커뮤니티)를 갖춘 농장이 되기 위한 방법을 함께 모색합니다.
  • 사회적 농업 활동 기획, 실행, 평가를 위한 역량을 키우고 함께 배우고 나누는 사회적 농장으로 성장을 위한 과정입니다.

/

함께 공부하는 사람들


이보영

농업회사법인 띄움 대표



“지금까지는 모든 것이 완벽해야 마음이 놓였어요. 주변에서 ‘잘한다’고 하는데 그 시선이 부담스러워서 내가 하고 싶은대로 하기도 어려웠죠.
‘나의 건강은 곧 땅의 건강에서 나오는 것이고, 땅을 지키는 것이 지구를 지키는 것이다. 예쁘게 키우는 것보다 바르게 키우는 것을 배운다.’
밭 만들기부터 미생물 배양액과 유기농 액비, 천연살충제도 아이들이 직접 만들어요. 잘 차려 놓고 기다리기 보다는 조금 부족해도 농장에 오는 친구들과 같이 채워가자고 마음을 바꿨어요.”

-2023 SF삼삼오오 2회차 인터뷰 중에서


이경원

삼삼오오학교 출판부장
작은변화연구소 연구파트너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매몰되지 않고 현장의 에너지와 참여자들의 목소리가 휘발되지 않아야겠지요.
데이터가 담지 못하는 소중한 것들을 놓치지 않고 제대로 담아내는 것 또한 제 역할이니까요”


-이경원 <기획자의 기록> 중에서





최선희

농업회사법인 땡큐베리팜 대표
한국사회적농업협회 이사


“귀농 10년 만에 지역에서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돌봄농장으로 자리잡았어요. 2022년 현장 연구 <환대와 연결, 변화 그리고>에 이어 2023년 학습모임 SF3355, 2024년 후속프로그램으로 5년 동안의 사회적 농업 활동을 정리하는 시간이 기대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도  ‘땡큐베리팜이 지원금으로 버티는 사회적 농장이 아니라 경제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을 갖춘 농장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어요. 우리 농장의 성장을 가장 가까이서 보셨으니 그 방법도 함께 찾아가요. ”


-최선희 소셜팜아카이브 기획회의 중에서

/

우리가 지향하는 SF3355 공부 방법

공유 


경험을 공유하고  활동 모니터링을 통해 상호학습으로 사회적 농업 활동을 풍요롭게 합니다.  



대화


함께 읽는 책읽기와 주제가 있는 대화로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나누고 기존의 사고를 전환하고 새로운 관점들을 발견합니다.


모색 


1:1 대화, 전문가의 글과 현장 기록을 통해  사회적 농업 활동에 대한 이해를 다지고,  실천을 위한 대안을  찾아냅니다. 


실천


직접 기획하고 기록하고 회고하는 시간을 가지며 지속가능한 사회적 농장으로서의 미래를 상상하며 꾸준히 실천합니다.


/

2023 운영 과정

Part 0.

학습을 위한 준비

  • SF3355 오리엔테이션

    -학습모임 운영 목적 및 목표 세우기

    -학습에서 기대하는 것들

  • 활동계획서로 우리 농장 소개하기

    -농장 소개 및 사회적 농업 활동

    -사회적 농장으로서의 가치와 목표

    -이해관계자 네트워크

    -실행 계획 및 운영과정

    -농장 자원 분석

    -2023 사회적 농업 활동 목표

  • 사회적 농업 읽기

    -사회적 농업 실태와 중장기정책방향(2017)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관계부처 협업 방안(2019)

    -사회적 농업의 발전 경로 및 경영성과분석(2020, 농촌진흥청)


Part 1.

우리 농장은

OOO이다

  • 우리 농장 소개하기

    -사회적 농장으로서의 정체성

    -사회적 농장으로서의 목표

  • 2022 사회적 농업 활동 회고와 올해의 사업계획 점검하기

    -2023 중점사업과 목표 확인

    -지속적인 학습모임의 필요성

  • 사회적 농업 읽기

    -2022 사회적 농업 콜로키움 1회차 발제문과 다양한 관계자들의 의견(김정섭 외)

    -사회적 농업의 의미와 실천 방향(김정섭 선임연구원)

    -[논문]사회적 농업, 농업과 농촌의 탈영토화: 홍성군 장곡면 사례(김정섭)


Part 2.

사회적 농장,

지역에서 역할을 

고민하다

  • 우리 농장의 사회적 농업 활동으로 생각해보는 사회적 농업의 의미와 지역 사회에서의 역할

    -청소년과 함께하는 사회적 농업 실천

    -충남 홍성군 행복농장 청소년 활동 사례 읽기

    -전남 야호해남 청소년 활동 사례 읽기

    -2023 사회적농업 기초교육 아동·청소년과 사회적 농업

  • 사회적 농업 읽기

    -2022 사회적 농업 콜로키움 2회차 발제문 : 사회복지 측면에서 본 사회적 농업

    -2022 사회적 농업 콜로키움 3회차 발제문 : 농촌과 농업과 사회적 농업

    -2022 사이통신 합본호

  • 대산농촌재단 해외연수 공유

Part 3.

사회적 농업을

읽다

  • 사회적 농업 읽기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사업 성과분석(김정섭 외,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사회적 농업 지원사업의 등장 배경과 평가의 목적과 관점 이해하기

    -연구자의 데이터와 현장 실천에서의 운영 비교하기

    -현장에서 필요한 것들 제안 과제 만들기


Part 4.

지속가능한

사회적 농업을

고민하다

  • 우리 농장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것, 방향성  제안

    -1:1 면담을 통해 기초컨설팅

  • 농장 탐방 및 활동 모니터링

    -땡큐베리팜, 발효체험학교 띄움 사회적 농업 활동 모니터링

  • 사회적 농업 읽기

    -사회적 농업을 통한 공동체 돌봄의 실현 조건(이현진 외, 2022)


Part 5.

우리에겐 우리의

원칙이 있다

  • 사회적 농장 운영 원칙 다시 세우기
  • 사회적 농업 읽기

    -WHO 가이드 원칙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커뮤니티 케어 시범사업과 일본, 스웨덴의 정책 비교(정윤화 외, 2023)